[칼럼] 4차 산업혁명은 의료 환경도 바꾼다 ‘스마트닥터’

한국형 의료인공지능 닥터앤서(사진제공=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뉴스코리아 조민수 칼럼니스트] 기술혁명이 가장 필요한 분야가 어디일까요. 의료분야를 우선순위에 넣어야 한다는 의견에는 아마 반대하는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분야만큼 중요한 곳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의료 환경은 가장 최신기술이 사용되는 분야이기도 하면서 가장 신중하게 평가받는 곳이기도 합니다.

우선 기술 혁명은 장소와 시간의 제약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꼭 병원에 가야만 했던 의료행위나 건강관리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처리할 수 있게 하고 인공지능(AI)이나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자동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사람이 24시간 근무하지 않아도 일정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의료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의료인의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의료 보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수퍼 컴퓨터 인공지능(AI) 의사 ‘왓슨’

대표적인 예로써 미국의 IT 기업 IBM은 수퍼 컴퓨터를 활용하여 ‘왓슨(Watson)’이라는 인공지능 의사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인공지능 왓슨은 한 퀴즈 프로그램에서 우승함으로써 화제가 되었었고 병원에서 왓슨은 의사들과 함께 암 환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찾아내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환자의 나이와 몸무게 등의 상태와 기존 치료 방법과 각종 검사 결과 등의 정보를 입력한 후에 저장하고 있는 빅데이터(Big data)를 바탕으로 치료 방법을 제안하게 되는데 이 과정이 순식간에 이루어지고 의사가 미처 다 파악하기 힘든 최신 의학지식이나 문헌 정보 등의 데이터를 끊임없이 학습함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길병원, 부산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계명대동산병원, 건양대병원, 조선대병원, 전남대병원 등이 인공지능(AI) 프로그램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을 통하여 왓슨을 활용하고 있는데 길병원 발표에 따르면 2017년 한해에 걸쳐 대장암(결장) 환자 118명에게 제시한 의료진과 왓슨의 ‘1순위’ 치료법이 같은 비율은 55.9%였고 2순위 치료법까지 확대하면 인간과 인공지능 의사의 생각이 같은 경우는 78.8%로 더 높아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문제점도 드러나고 있는데 왓슨은 위암 등 동양인에게서 많이 발병하는 암에 대한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왓슨은 주로 북미 환자들의 데이터들로 학습했기 때문에 왓슨이 제시한 치료법이 국내에선 허가되지 않거나 의료비가 과도하게 발생하여 선택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인공지능 응용 사례들과 마찬가지로 왓슨은 대량의 진단 데이터 및 기존에 인간 의사들이 내린 처방의 조합을 학습하여 패턴을 찾아내고 그 임상케이스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립니다. 거기에는 기존 데이터에서 벗어난 케이스에는 대처하기 어렵고 응용이나 창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 의사와의 협업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고 다양한 질병에 대한 임상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는 문제도 존재할 것입니다.

한국형 의료인공지능 ‘닥터앤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올해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에서 ‘닥터앤서 임상적용 스타트 선포식’을 개최했습니다. 닥터앤서(Dr.Answer)는 다양한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소프트웨어로 한국형 인공지능 기반 정밀의료 서비스입니다.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소아희귀난치성유전질환, 심뇌혈관, 치매 등 세 분야를 대상으로 관련 소프트웨어 8개를 전국 11개 병원에서 먼저 임상 적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정부 280억 원과 민간 77억 원 등 총 35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향후 8대 질환 대상 21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는 계획을 밝혔고 이에 따라 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 심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뇌전증, 치매, 소아희귀난치성유전질환 등 8대 질환을 대상으로 닥터앤서가 시행될 예정입니다.

인공지능(AI) 의사가 완전히 인간을 대처할 수 있는 시대는 아직 먼 미래의 것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인간을 보조할 수 있는 의료 시스템은 계속 해서 발전할 것이고 이를 주도하기 위해서는 정부, 민간의 협조아래 다양한 임상데이터를 빅데이터 시스템화하고 관련 노하우 축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