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 없는 대형마트, 대기업만 배를 불리는 유통의 문제점

우리나라의 대형마트가 들어오면서 많은 영세 상인들이 폐업하고, 시장체계도 많이 사라져 지금 대한민국에 남아있는 시장도 몇 없는 추세이다.

대기업의 마트가 들어오면서 다양한 제품을 보다 싸게 그리고 다양하게 선보였다. (사진=김광우 기자)

정부에서는 허울뿐인 정책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채 점점 동내의 중소상인들은 죽어 나가고 있다. 지금까지의 변화를 살펴보자면 대기업의 마트가 들어오면서 다양한 제품을 보다 싸게 그리고 다양하게 선보였다.

실상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시장에 각각의 상품들을 각각의 시장에서 구매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도 있고 가격이 싸지도 않았다. 대형마트에서 카트로 한 번에 구매할 상품들을 골라서 한 번에 구매하기가 쉽고 편했다.

결국, 몇몇 시장은 문 닫고 중소상인들은 폐업하고 그 자리에는 또 대기업의 대형마트가 들어섰다.

 

현재 마트는 작게는 5Km에서 멀리는 10Km 거리에 줄지어 세워져 있어 결국 대기업이 중소상인들을 다 죽이고 그 위에 마트를 세운 것이다. 지금의 대형마트들은 각자의 브랜드를 걸로 질 좋은 제품으로 경쟁하듯이 판매를 하고 있다.

농촌의 어느 지점과 직거래로 유통하거나 품질 좋은 제품만 선별해서 판매한다는 등, 보이에만 그럴듯하게 꾸미며 오히려 기존의 저가경쟁에서 벗어나 고급상품화하여 고가에 판매하고 있다.

사실 그곳은 이미 그전에 누군가와 유통 계약을 하여 도매상을 거쳐 중소상인들이 판매하던 상품들이다. 오히려 시장의 유통망보다 더 뚜렷하다는 식의 홍보로 소비자들을 끌어들여 중소상인들에게 독을 던지는 꼴이 되었다.

 

정부에서 내세운 정책이라고는 지난 2012년 월 2회 의무 휴일인 영업규제이다. 소비자 설문에서는 영업규제 일에도 동내 전통시장을 방문하기보다 전날에 구매를 더 한다고 한다.

이는 이미 실패한 정책으로 눈앞에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질 못하는 방법이다. 많은 중소상인은 전통시장의 활성화로 대기업의 대형마트 못지않은 전통시장이 되길 성장하는 것을 바라고 있다. 오히려 중소상인들이 판로를 내어 조합을 결성하고, 살아남는 방법을 택하면서 몇몇 조합이 성장한 표본이 되어 뒤늦게 협동조합지원정책을 각 지방자치에서 시행하고, 정부부처인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협동조합 활성화 정책을 세워 조합성장과 조합장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대형마트에게 빼앗긴 소비자들은 여전히 대형마트의 횡포에 시달리면서 소비를 하고 있다. 가격에 대한 부담을 소비자가 지게 만드는 고가상품에 대한 규제, 그리고 전통시장 및 중소상인들이 대형마트에 견주어도 뒤처지지 않게 만드는 지원정책이 시급하다.

또한, 소비자들도 대형마트에만 의존하지 않고 전통시장을 적절히 활용하여 중소상인들이 성장하도록 도움이 되도록 인식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