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천대학교 휴먼보건과학융합연구소 김지연 교수가 지난 4월 12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대한근감소증학회 제18차 정기 학술대회에서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근감소증과 악액질(Sarcopenia and Cachexia)’을 주제로, 고령화 시대에 맞는 예방과 치료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지연 교수는 이번 학회에서 ‘근감소증 관리를 위한 운동재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며 “근감소증은 단순히 나이가 들어 생기는 현상이 아니라 낙상이나 골절은 물론 심장질환과 당뇨병, 인지 기능 저하 등 여러 건강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이에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예방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그 해법으로 김지연 교수는 2022년도 한국연구재단 글로벌인문사회연구소지원 선정 과제를 수행하며 얻은 결과물을 바탕으로 체계적 접근 모델을 소개했다. 그중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12주 운동 프로그램 연구 결과에 따르면, 참가자들은 근육량의 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움직임과 신체 기능은 뚜렷하게 향상됐다.
이에 김지연 교수는 “근육량이 꼭 늘지 않더라도 올바른 운동을 통해 기능 회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동 지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또한 고령자들의 근감소증에 대한 인식이 낮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지연 교수는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48%는 ‘근감소증’이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조차 없었다. 운동을 알고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발표 마지막에 김지연 교수는 직접 개발한 운동 영상 콘텐츠와 복합 운동 프로그램 사례를 공유하며, 근감소증 해결의 열쇠는 운동이고 이를 위한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복지 정책 그리고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한편 가천대학교 휴먼보건과학융합연구소는 초고령화 및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문사회 기반 보건분야의 연구에 주력함으로써 사회문제 해결을 통한 국민의 건강증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대한근감소증학회 김덕윤 회장은 이번 춘계 학술대회에 대해 “근감소증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기술이 논의된 의미 있는 자리였다.”라고 평가했다.
이뉴스코리아 이뉴코 김희원 기자 khw@enewk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