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되는 목·허리 통증, 디스크 의심된다면 적절한 치료법은

미올한방병원 본점 임용석 병원장

출퇴근길 지하철이나 버스를 보면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졸음에 고개를 휘청거리는 사람도 있고, 오랜 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렇게 무의식적으로 목을 앞으로 내미는 습관은 목과 어깨에 부담을 주고, 심하면 거북목 증후군이나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디스크(추간판)는 본래 척추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단단한 막 속에 젤리 같은 수핵이 들어 있는 형태다. 이 디스크가 제자리를 벗어나면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과 다양한 신경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흔히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외상성 추간판 탈출증은 교통사고와 같은 외부 자극으로 디스크를 싸고 있던 막이 터지면서 수핵이 흘러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퇴행성으로, 이는 디스크가 퇴행성 과정을 겪으면서 뒤쪽의 섬유막에 틈이 생겨 안쪽의 수핵이 뒤로 빠져나와 신경을 누르는 것이다.

우리가 목디스크라고 부르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목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밀려나와 옆의 신경을 누르면서 통증이 생기는 척추 질환이다. 이는 말랑말랑한 수핵이 튀어나와 신경근을 압박하는 연성과 골극 등이 신경을 누르는 경성으로 나눌 수 있다. 대개 연성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생하고, 경성은 50~60대 이상의 환자에게서 주로 볼 수 있다.

이는 다시 디스크의 돌출 위치에 따라 신경근 압박과 척수 압박으로 나뉜다. 신경근이 눌릴 경우 한쪽 팔이나 손가락으로 저릿한 통증이 뻗어나간다. 척수가 눌릴 경우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보행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대소변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는 초기에 진단하고 치료를 시작하면 비수술적 요법으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한의원에서는 한약과 침 치료, 추나요법 등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증상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다.

미올한방병원 본점 임용석 병원장은 “한약 치료는 체내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 손상된 관절과 인대를 강화하고, 신체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경혈을 자극하는 침과 약침 치료는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고 신경 압박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굳어진 근육과 관절을 이완시키는 추나요법 치료를 병행해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도록 도울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허리디스크 치료를 위한 한약에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이 줄어들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바쁜 일정으로 꾸준한 통원 치료가 어려운 경우, 또는 통증이 심해 일상생활이 힘든 경우에는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초기부터 집중적인 치료가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 빠른 회복과 일상 복귀를 돕는다. 따라서 통증이 지속된다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험 많은 의료진과 상담해 자신에게 맞는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전했다.

이뉴스코리아 김희원 기자 khw@enewk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