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산업 바이오테크, 국내 연구진도 세포 내 물질수송 연구 활발

[이뉴스코리아 심건호 기자] 국내 연구진들의 세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6일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광주과학기술원 세포 로지스틱스 연구센터의 전영수 교수와 미국 다트머스 대학 공동연구팀이 ‘세포 내 물질수송의 정확성이 세 종류 단백질의 고유한 조합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세포 내 물질수송은 세포의 생성 및 생장, 또는 호르몬 및 성장인자 등의 분비를 위하여 세포 내부에서 단백질이나 지질을 수송하는 과정을 말한다.

단백질이나 지질은 세포의 모든 장소에서 사용이 되기 때문에 단백질 및 지질의 세포 내 수송은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세포 내 물질수송이 정확하게 일어나지 않는다면 세포의 생존자체를 위협할 수 있고,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GIST 전영수 교수 연구팀 연구 모식도(사진제공=GIST)

GIST 전영수 교수는 “이번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세포내 물질수송이 어떻게 정확하게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 것”이라면서, “세포 내 물질수송의 결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법을 찾는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존 이론은 2013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샂아인 제임스 로트만 교수가 제안한 스네어 가설에 기반한 것으로 특정 스네어-스네어 조합만으로도 세포 내 물질수송이 가능하다는 이론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스네어 단백질 간 결합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막융합 조절단백질을 추가적으로 활용했다.

이같은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호재 교수 연구팀의 연구에서도 진행된 바 있다. 지난 8월 한호재 교수 연구팀은 세포허혈적응 반응을 유도하는 한편 혈소판에서 분비되는 세포재생 유도 물질과 유사한 지질대사체에 의해 조절되는 미세소관 운송단백질의 역할을 규명했다.

해당 연구진은 세포 내 물질 수송을 담당하는 생체트럭의 주요한 부품인 미세소관 운송단백질이 산소 공급 등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 허혈유도인자가 핵으로 이동하도록 돕는 것을 알아냈다.

바이오 테크 등 새로운 세포 연구 및 기술이 발달하면서 국내 연구진의 연구 및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세포 연구에 대한 각국의 선두 싸움이 치열한 가운데, 차세대 세포 연구를 통한 국내 연구진들의 성과는 더욱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