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취재] ‘통신재난’ KT 화재, 피해 복구와 함께 안전대책 마련해야

[이뉴스코리아 심건호 기자] 지난 11월 24일 토요일 오전 KT 아현지사 지하통신구에 발생한 화재로 서울 중구와 용산구·서대문구·마포구·은평구·경기 고양시 일부 지역에 인터넷과 핸드폰 등에 통신 장애가 발생했다.

27일 오전 KT 아현지사 복구현장(사진=심건호 기자)

화재 발생 후 3일이 지난 27일 오전 KT 아현지사 앞은 복구에 분주했다. 교통 통제가 KT 아현지사 양측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복구를 위해 투입된 인원들이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KT 측은 27일 오전 8시를 기준으로 무선 95%, 인터넷 98%, 유선전화 92%를 복구했다고 밝혔지만, 일부 지역 고객들은 여전히 불편함을 토로하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KT 화재 당시 입은 피해로 통신사를 바꿨다는 게시글도 확인할 수 있다.

언론에서도 KT 가입자수가 감소했다는 기사를 보도하고 있는만큼 KT 아현지사 화재는 KT 이용 고객들 뿐 아니라 KT에도 상당한 피해를 남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7일 오전 KT 아현지사 복구현장(사진=심건호 기자)

경찰과 소방당국이 정밀감식을 위해 현장을 방문했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감정을 의뢰했지만 아직까지 화재 원인은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

화재가 발생한 지 3일이 지난 현재, KT 아현지사 지하통신구에서 발생한 화재는 아직도 원인불명으로 남아있다. 화재가 발생한 통신구에서는 여전히 매캐한 냄새가 나고 있다.

27일 오전 KT 아현지사 복구현장 통신구(사진=심건호 기자)

이번 화재로 정부는 통신장애 조기 수습과 통신 시설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대응책을 고심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7일 ‘통신재난 관리체계 개선 TF’를 출범했다.

KT와 SK텔레콤,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CJ헬로 각 통신사가 참여했고 행정안전부와 방송통신위원회, 소방청과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가 참여했다. 이번 화재로 드러난 대응체계 문제점을 점검하고 재발 방지와 대응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27일 오전 KT 아현지사 복구현장(사진=심건호 기자)

먼저 전국 900여개 주요통신시설에 대한 점검을 진행해 소방 및 백업시설 취약성 기준을 수립하고 자동 방재시설 설치 등 안전 대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국무회의에서 “IT강국 대한민국의 맨얼굴을 드러냈다”며 “초연결사회의 초공포를 예고했다”라는 말로 이번 화재를 지적한 것처럼 실제 통신장애는 통신재난으로 불릴만큼 인터넷과 전화, 결제 시스템 등을 마비시켜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적한 것처럼 현재 4G의 시대를 지나 5G 시대가 도래한다는 문구는 지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부터 볼 수 있었던 문구다. 하지만 이번 화재는 기술의 진보 뒤에 숨겨진 내실의 현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27일 오전 KT 아현지사 복구현장(사진=심건호 기자)

통신마비는 긴급상황시 굉장히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119나 112 등 긴급신고가 어려워지고 위급상황에서 연락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후에 있을지 모를 더 큰 피해를 초래하기 전에 이번 화재를 타산지석 삼아야 한다.

화재 피해에 대한 완전 복구까지는 약 일주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다른 통신 설비에 대한 상황 파악과 대책 마련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이뉴스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