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차별 논란에 휩싸인 지역인재 할당제와 블라인드 채용

[이뉴스코리아 심건호 기자] 대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해마다 60만명에 달하는 수험생들은 수능시험을 치른다. 그 중 서울 소재의 대학이나 서열화 된 대학 중 상위 대학으로 진학하는 인원은 대학에 진학하는 전체 인원보다 적은 수다.

‘지방대’, 지방에 있는 대학교를 의미하는 말이지만 우리 사회에서 존재하는 지방대 차별과 시선 등은 지역적인 경계가 아닌 차별의 경계를 만들기도 한다. 지난 2016년 한국교육개발원이 성인 2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이 출신대학에 따른 차별이 존재한다고 답했다.

이러한 차별을 해소하고 불균형적인 인재채용에 대한 대안으로 블라인드 채용과 지역인재 할당제 등이 등장했다. 지역인재 할당제는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공기관이 신규채용 인원의 35% 이상을 지방대학 학생 또는 졸업생으로 채용하도록 권장하는 제도로 알려져 있다.

실제 지역인재 할당제로 지방대를 나왔다는 이유로 차별을 느낀 취업준비생과 학생들이 많은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역차별을 주장하는 여론이 있어 제도의 취지에 물음표가 던져진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역인재 할당제에 의하면 해당지역에서 20년을 넘게 거주하더라도 지역소재 대학교를 나오지 않은 경우 가산점 등의 채용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열심히 공부해서 수도권 소재의 대학이나 타 지역의 대학에 들어간 경우 공공기관이 있는 지역의 대학을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청와대 국민청원에 지역인재 할당재 개선을 요청하는 글(사진= 청와대 국민청원 캡처)

이에 대해 네이버 누리꾼 kkkq****는 “이번에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보면서 많은 젊은이들이 분노 했지..자기 노력을 정부가 짓밟는것에 대해 분노한건데..지방할당도 마찬가지지 근데 왜 별 논란없이 넘어갔냐. 아이스하키 팀은 나랑 상관없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본거지만. 지방할당은 내 이익 이거든. 결국 자기 이익앞에 정의는 없어. 피해받는 수도권 학생보다 이익보는 지방대 학생 수가 많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는거지. 근데 실상은 지방대 할당 자체가 특정지역과 특정 대학만 로또맞는 제도야.특정분야 공기업이 한 지방에 몰려있어서 그 지역에 있는 좋은 대학이 싹슬이 하는 제도지”라는 의견을 남겼다.

또 다른 네이버 누리꾼 kim0****는 “근데 그만큼 좋은 대학 들어갔으면 실제 업무 능력도 좋지 않을까?이걸 가지고 역차별 당한다. 이건 좀 아닌 듯 .솔직히 진짜 실력이 아닌 네임벨류가 취업에 한 평가기준이 되면 안 된다고 생각함.아 물론 지역인재 부문은… 좀 고쳐야 한다고 생각한다.지방도 수도권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면 될일을 왜 굳이 지역인재란 걸로 하는지…”라는 의견을 남겼다.

실제로 대학교의 서열화와 차별의식 등이 개선되지 않는 한 역차별 논란과 공기업이 아닌 사기업의 학벌로 인한 차별은 쉽게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단일팀 논란처럼 능력이 아닌 출신으로 선별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많은 지적이 있는만큼 단순 보여주기식의 정책에 대해서도 곱씹어봐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진짜 평등한 기회를 주고싶다면 오히려 평등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 인프라 구축 등의 문제를 개선해야하지 않을까. 역차별 논란과 함께 지역감정과 출신 대학교에 대한 의식에 악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염려의 시선과 목소리는 당분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이뉴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