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미세먼지 대책’에 경기도는 왜 참여 안했나

[이뉴스코리아 손은경 기자] 15일 수도권 지역에 올해 첫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다. 이에 전날 서울시는 출퇴근시간대 서울시 대중교통을 무료로 운행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정책에 혈세를 투입할 수 없다”고 밝혀(사진=손은경 기자)

14일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개 지역에 PM2.5 농도가 ‘나쁨’(50㎍/㎥)을 초과했고 이어 15일에도 ‘나쁨’이 예보되면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도권 3개 지역 중 서울시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로 대중교통을 무료 운행하겠다고 전했지만 경기와 인천 소재 대중교통은 적용되지 않아 경기와 인천 소재 시민들은 볼멘 소리를 내기도 했다.

이에 경기도는 서울형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15일 밝혔다.

첫 번째로 도는 효율적인 세금 이용을 이유로 들며 “수도권 지역에 대중교통 무료운행을 연간 15일 실시한다고 가정했을 때 소요예산이 연 1천억 원을 넘어서고 이 중 경기도는 367억원에 달하는 부담을 감수해야 함.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정책에 혈세를 투입할 수 없다”고 전했다.

이어 두 번째로 해당 정책이 도민 안전위협을 야기한다며 “출‧퇴근길 버스 승객이 20%만 증가해도 광역버스 입석률이 현재 9.6%에서 18.6%로 2배 정도 늘어나 200여 대의 광역버스 증차가 필요한 상황인데도 서울시는 단 1대의 증차도 동의하지 않았음. 서울시 대책을 그대로 추진할 경우 ‘콩나물시루’ 버스가 될 것으로 도민 안전을 위협하는 대책에 동참할 수 없음”을 설명했다.

또 협의부재를 꼽았다. 경기도는 “수도권환승할인제는 1,300만 경기도를 포함한 11개 기관이 유기적으로 얽혀있는데도 서울시가 아무런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대책을 발표했다”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경기도 차원의 미세먼지 해결 근본대책 시행할 계획도 전했다.

도는 4,109대에 달하는 도내 경유버스를 모두 폐차하고, 이를 친환경 전기버스로 대체하겠다고 밝혔으며 전기택시 보급 확대를 위해 차고지내 충전인프라를 구축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부터 2년간 900억원 이상을 투입해 2005년식 이하 화물차 5만1천여 대의 조기 폐차와 매연저감장치 설치, LPG엔진 개조 등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뉴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