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떠나고 싶은 이들

잡 푸어(Job Poor) 시대와 계층 양극화의 그늘 속에서 이 사회를 살아가는 청년들이 느끼는 절망은 헬조선, 헬 코리아(Hell Korea) 등의 사회 비관 신조어들이 늘어 나고 있다. 실제로 20~30대 성인남녀 10명 중 8명은 기회가 된다면 대한민국을 떠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사회적으로 충격을 주기도 하였다.
한국을 떠나고 싶은 이들(사진=양보현 기자)
취업 조사 사이트의 조사 자료 내용으로 20~30대 성인남녀 1,744명을 대상으로 ‘한국을 떠나 살 의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무려 77.9%가 ‘떠날 의향이 있다’라고 답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의 응답률이 91.4%로 남성(85.5%)보다 조금 더 높았다.
또, 전체 응답자의 85.6%는 한국의 사회 시스템 하에서 살기가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들이 어렵다고 느끼는 것 1위는 단연 ‘취업’(66.7%, 복수응답)이었다. 이어 ‘내 집 마련’(63.9%), ‘재산 축적’(62.5%)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출산 및 육아’(51%), ‘결혼’(42.6%), ‘학업’(32.4%), ‘부모님 부양’(22.9%) 등을 선택했다.
그렇다면, 한국 사회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일까? 라고 질문한다면 어떤 원인이 뽑혔는지 결과가 궁금하다. 우선 전체 응답자의 26.9%가 ‘빈부격차 문제’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19%), ‘정규직과 비정규직 격차’(11%), ‘일자리 부족’(10.4%), ‘학벌중심주의’(8.9%), ‘잡 푸어 증가’(6.8%), ‘물가 상승’(6.6%)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이렇다 보니 현재 삶에 대한 만족도는 낮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서 삶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8점으로 매우 낮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0점’(17.4%)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50점’(16.6%), ‘20점’(13%), ‘60점’(11.4%), ‘10점’(11.1%) 등의 순이었다. 또, 응답자의 무려 97.6%는 한국에 살면서 본인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빨리빨리’(28.6%)였다. 이어 ‘부정부패’(17.5%), ‘빈부격차’(15.3%), ‘학벌중심’(12.3%), ‘경쟁’(9.9%), ‘분단국가’(4.1%), ‘정치갈등’(2.8%)등 부정적인 키워드가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한류’(2.1%), ‘정’(1.6%), ‘근면성실함’(0.8%), ‘애국심’(0.7%) 등의 긍정적인 키워드는 하위권에 포진했다.
이처럼 긍정적인 이미지의 한국도 아직은 많이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압도적으로 사회의 부조리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은 비단 오늘 내일만의 일은 아니였다. 각자 개인의 능력을 발휘하고 무작정 남들을 따라하는 경쟁이 아닌 자신의 삶을 스스로 윤택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조금씩 개선을 하는 것이 우리가 조금 더 안정 된 사회를 살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