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대 신산업 일자리, 전문 기술인력 중심으로 재편돼 38만 개 늘어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미래 유망 신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으로 신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전망과 신산업 투자기업의 일자리 관련 성공사례 및 애로사항을 중점 논의를 통해 모색하기 위한 산·학·연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산업부 강성천 산업정책실장이 주재했고, 신산업 투자기업에서 4명, KAIST 이수영 교수, 한양대 이상욱 교수, 산업연구원 이진면 본부장, 직업능력개발원 전재식 연구위원, 산업기술진흥원 변동철 산학협력단장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간담회 주요 논의 내용을 살펴보면 ‘신산업 일자리 전망’에서는 산업연구원은 산업부가 지난해 12월 선정·발표한 12대 신산업인 전기·자율 차, 스마트선박, IoT 가전,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 소비재, 에너지 신산업, 신소재, AR·VR,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반도체에서 종사자 수가 2015년 20만3천 명에서 2020년 36만2천 명, 2025년 58만5천 명으로 연평균 11.2% 이상 증가할 전망으로 2025년까지 약 38만 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하였다.

특히, 전체 종사자 중에서 연구개발·품질검증·생산기술 등 전문성을 보유한 ‘산업기술인력’의 일자리 비중이 2015년 40% 수준에서 2025년 50% 수준으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측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산업구조 변화 및 신기술 발전에 따라 사무직·서비스직 등 지원인력보다는 전문성을 갖춘 고급 기술인력 중심으로 일자리가 재편됨을 의미한다고 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신기술이 빠르고 불확실성이 높게 변화하고 있어, 향후 신산업 분야 연구개발·설계인력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의견에서는 회의에 참석한 빅데이터, 원격의료,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 투자기업 대표들은 새 정부의 공공 부문 81만 개 일자리 창출과 함께,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특히,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12대 신산업에서 대다수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인바, 기업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가 ‘일자리위원회’를 중심으로 더욱 노력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향후 계획에서는 회의를 주재한 강성천 산업정책실장은 규제개선과 집중지원인 5년간 7조 원대 R&D 자금 집중지원, 네거티브 방식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등으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12대 신산업을 중심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기업의 고용유발형 신규투자를 유도하는 한편,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실무 중심의 산업인력 교육·양성 사업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