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군위군에 위치한 장애인거주시설 ‘세중복지촌’은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지적 장애인 및 자폐성 장애인이 사회 안에서 높은 삶의 질을 누리며 살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3년 세중복지촌 설립 인가, 現 30명과 함께
2011년 5월에 사회복지법인 세중복지재단을 설립한 후, 지난해 9월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세중복지촌 설립을 인가받았다. 그리고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세중복지촌에 거주인들이 입소해 생활하기 시작했다.
이곳의 입소대상은 지적장애인 1~3급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또는 법적으로 장애인으로 등록돼 부양 의무자가 없는 자에 한해 입소가 가능하다.
교육·생활·사회·의료 등 재활 적극 지원
특히 세중복지촌은 장애인들의 편안한 생활을 위해 정원 30명으로 제한함으로써 개개인의 재활에 집중적으로 힘쓰고 있다.
크게 ▲교육재활 ▲생활재활 ▲사회재활 ▲의료재활 ▲영양급식 등 5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 중 ‘교육재활’은 한글 배우기 및 연산개념 익히기, 컴퓨터, 음악활동, 체육활동 등 개인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회재활 프로그램과 연계해 문화탐방을 통해 교육 효과를 높이고 있다. 또 ‘생활재활’은 거주인의 자립심을 향상시키며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모든 것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밖에도 사회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고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사회재활’과 건강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의료재활’, 장애인의 욕구를 파악한 ‘영양급식’을 제공함으로써 세중복지촌에서 생활하는 동안 최대한 재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지원하고 있다.
장애인 선입견 “스스로 당당하면 문제 없어요”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은 바라보는 시선은 아직도 따갑기만 하다.
게다가 시설 환경과 인력 및 수가 문제는 언제 개선될지 모른 채 시설 관계자들의 마음만 졸이게 하고 있다.
세중복지촌에 근무하고 있는 김성희 교사는 “지금도 편견을 갖고 바라보는 시선이 많아요. 하지만 스스로가 당당하면 문제가 될 부분이 없다”며 “장애인과 동행해 외부활동 할 때 모든 모습이 자연스러워 보이고, 그것들이 일상생활에 녹아들게끔 사회통합이 된다면 장애인들은 물론 사회적 인식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시골內시설 ··· 정확한 실태파악 및 지원 절실
또한 그는 보건복지부에 바라는 사항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시설이 도시가 아닌 시골 외지에 위치해 있어 정확한 실태 파악이 안 돼 여러 가지 면에서 악조건이라는 것.
따라서 그는 “시골에 위치한 시설들도 빠짐없이 실태를 파악해 그에 따른 적절한 대응과 교육 시스템 등을 지원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며 “외부와도 연계해 장애인시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네트워크가 잘 형성됐으면 좋겠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