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용품 업체 유해물질 자발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

아이들이 쓰는 물건들 과연 안전할까? (사진=박양기 기자)

최근 일상 속에서 쓰는 물건들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는 보도와 함께 여러 다양한 용품들이 주목을 받았던 바 있다. 덕분에 가습기 살균제, 치약 논란이라고 부르며 한동안 내가 쓰는 물건이 내 건강을 해치는 성분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닌지 자세히 살펴보기 시작한 소비자들이 늘어났고 각 업체에서 역시 더 좋은 재료로 상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아이를 둔 부모들의 경우, 다른 누구보다 유해물질을 우리 아이도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사실에 더 당황하고 걱정했을 것이다. 아이들이 쓰는 물건만큼은 아무리 돈을 위한 수단이라지만, 깨끗하고 안전하게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부모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많은 이들이 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어린이 제품을 생산 관리하는 많은 업체 중 기준을 넘어 적발된 곳이 있다는 것이 안타까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6년 안전성 조사계획에 따라 전기용품(중점관리품목), 주방용품 및 어린이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지난 2월,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45개 업체 47개 제품에 대해 제품안전기본법 제11조에 의거 수거·교환 등 리콜 조치했다.

지난 2월 리콜조치됐던 아이제품들 (사진제공=산업통상부)

그렇게 리콜 조치된 제품 중 어린이용품은 총 5품목 21개 제품이었다. 납과 카드뮴의 기준이 국가 기준보다 몇 배나 높다거나 pH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크롬이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이 기준치보다 높게 나온 경우 등이 있었고 제품군은 아이의 신발부터 배게 및 이불 세트, 섬유제품 등 평소에 아이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물건들이었다.

이처럼 어린이용품은 주기적으로 실태조사를 통해 관리를 해야 하는 물품으로 리콜 조치나 다른 방법을 통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정부 측에서는 이에 관련해 지속적인 지원 정책과 올바른 해결책을 준비해 둬야 할 필요가 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이와 관련해 어린이용품 제조‧수입업체가 제품에 포함된 유해화학물질을 자발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2017년도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자가관리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들은 이번 사업을 통해 어린이용품 관련 업체가 자사 제품의 유해 화학물질 함유 여부를 미리 파악하고, 제품 기획·설계부터 유통·판매까지 유해 화학물질 사용 저감방안을 마련하여 이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지원내용은 유해 화학물질 분석, 공정진단, 친환경 디자인 및 원‧부자재 구매전략 제시로 구분되며, 세부적인 지원사항은 기업의 여건과 요구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또한, 개선 가능성, 이행 의지 등을 검토하여 선정된 일부 기업에 대해서는 맞춤형 집중 컨설팅을 지원한다.

이번 사업의 내용은 2012년 15개의 업체를 시작으로 지난 2016년 300여 업체의 수가 ‘어린이용품 유해물질 자가관리 지원 사업’을 진행한 사업으로 2017년에는 총 80개 사를 대상을 실시할 계획이다.

서흥원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어린이용품의 유해물질 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업체의 유해 화학물질 관리‧저감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관계자는 우수사례에 대해 언급하면서 “지금까지 납이 검출됐었던 어린이 제품 내 재료를 납이 검출되지 않는 부품으로 교체하기도 했고 필름 역시 DEHP가 검출되지 않는 제품을 생산하기로 했다”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