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뒤의 미래, 환경을 위한 경유차 억제책 시행될까?

최근 늘어난 미세먼지와 대기오염, 한정된 자원속에서 인간들은 살아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 약으로 내세웠던 미세먼지 감축정책으로 경유 승용차 운행금지 방안도 시행될 예정이다. 공약으로 2030년까지 승용차 운행을 전면 금지한다고 하여 향후 자동차 산업에 대하여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인류가 발전함에 있어 자동차는 큰 역활을 하였다. 하지만 진보된 기술이 등장하고 자원의 한계가 논의 되는 만큼 자동차 업계도 새로운 모델을 준비해야 될 것이다.

10년뒤의 미래, 환경을 위한 경유차 억제책 시행될까?(사진=픽사베이)

16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등록된 경유차 비중은 47.9%로 휘발유차(41%)를 넘어섰다. 경유차 점유율은 2010년 18.5%에서 2011년 20.7%, 2012년 27.0%, 2013년 32.4%, 2014년 39.5%, 2015년 44.7%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자동차업계는 경유차 규제가 경유세 인상과 액화천연가스(LPG)차 규제를 완화하는 방식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업 구조상 기한을 정해놓고 경유차를 강제로 운행 중단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직접적인 규제보다는 경유세를 인상하고 LPG 구매 가능 대상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경유차 감소를 유도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경유차가 미세먼지의 주범이라는 전제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경유차가 미세먼지 주범이라면 경유차 등록대수나 경유 소비량에 비례해 미세먼지도 증가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석유공사 에너지통계연보 및 국립환경연구원에 따르면 경유차량 등록대수는 2008년 613만6927대에서 2013년 739만5739대로 21% 증가했다.

이 기간 수송 부문 경유소비량은 1억372만5000배럴에서 1억1012만배럴로 6% 늘었다. 하지만 도로이동오염원 배출 미세먼지(PM10)는 2008년 2만8898t에서 2013년 1만2103t으로 59% 줄었다.

인류가 발전하고 진화해 감에 따라 함께 다양한 기술이 함께 진보하고 사라져갔다. 단순 성장에 대한 갈망보단 환경과 인류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기술이 이제는 주목받고 있는 시대이다. 어떤 원인이 되어 정책을 수정하고 채택될지는 확실치 않지만 이제 인류가 더 나아감에 있어 환경을 함께 가꾸며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